Make your life better

허손병 [虛損病] 본문

방제

허손병 [虛損病]

splendid0116 2020. 7. 31. 22:00

 

폐계와 신계가 허쇠하여 진원이 부족하며 기력이 쇠약하고 정력감퇴, 성장 X, 조로, 이명, 노수, 단기, 혹 도한 등증에 쓰인다. 

육미지황탕에 구기자 & 오미자를 가한 것으로 모든 허손병에 응용될 수 있는 기본방이나
다만 소화력이 있는 경우에 써야만 니체되지 않는다. 

숙지황 4.0

산수유 산약 2.0

백복령, 목단피, 택사, 구기자 1.5

오미자 0.5

강3 조2

 

육미지황탕 (숙지황, 산수유, 산약, 백복령, 목단피, 택사)
구기자 -甘 寒 / 肝 腎 / 滋腎 潤肺 補肝 明目
오미자 - 斂肺 生津 收汗 滋腎澀精

 

  • 혈허, 빈혈 - 백작약, 당귀, 천궁
  • 폐조 - 맥문동, 당귀
  • 정허화동 - 귀판, 천우슬, 맥문동
  • 노수, 인창 - 귀판, 천문동, 맥문동, 현삼, 원지
    • 補益藥-補陰藥 / 鹹甘 微寒 / 肝 腎 / 滋陰  潛陽  補腎  健骨 
  • 폐허담다 - 진피, 반하, 맥문동
  • 기허 - 인삼, 백출, 귤피
  • 약식불소 - 백출, 귤피, 사인
  • 도한 - 맥문동, 사삼, 지모, 황백, 황기, 백출
  • 조갈 - 사삼, 맥문동, 천화분
  • 조담난객 - 맥문동, 과루인, 원지
  • 신허요통 - 두충, 속단
  • 정력허쇠 - 녹용, 관계, 부자포
  • 유정조루 - 금앵자, 검인(=감실)
    • 금앵자 & 검인 - 澁精縮尿止帶藥

 

  • 음허부종 - 우슬, 차전자 
    • 우슬 - 活血祛瘀若 / 苦酸 平 / 肝 腎 / 生用 散瘀血  消癰腫  / 熟用 補肝腎 强筋骨
    • 車前子 - 利水滲濕藥-利尿通淋藥 / 甘 寒 / 肝 腎 肺 小腸 / 利水滲濕   淋  止瀉 明目 化痰止咳 

기혈()이 크게 허()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

경악방 대보원전의 가미방으로 회천, 찬화, 구본, 배원의 공효가 있다 하였고, 선천적으로 품약하거나 대병 후 기혈이 모손된 경우에 기본 보양제로 많이 쓰인 처방. 

 

인삼, 산약초, 숙지황, 두충, 구기자, 당귀, 산수유, 관계, 감초 

  • 비허불섭 - 백출, 귤피, 사인
  • 기곤무력 - 황기, 백출
  • 허냉 - 부자포
  • 정허 - 녹용
  • 불면, 수화불교 - 산조인
  • 폐조 - 맥문동, 백복령, 오미자
  • 설변자 - 거 당귀, 가 백출
  • 근위무력 - 천우슬, 속단
  • 유담 - 진피, 백복령, 반하, 원지

기와 혈이 구허하여 식소, 자한, 지체권태하며 현훈무력, 기핍곤권한 데 쓰인다.

숙지황, 인삼, 백출, 황기, 당귀, 천궁, 백작약, 백복령, 관계, 감초, 강3조2

  • 유담음 - 귤피, 반하, 오미자
  • 원양허손 - 보골지, 파극, 구기자, 건강, 부자
  • 유심번열 - 거 인삼, 환 사삼 혹 만삼
  • 폐허해담 - 거 관계, 인삼, 가 사삼, 귤피, 반하, 길경
  • 하계번조 - 맥문동, 귤피, 오미자
  • 칠정기울, 심신허쇠 - 거 황기, 관계, 가 귤피, 사인
  • 부인혈고, 혈해허손, 만성대하 - 익모초 (활혈거어약) 
  • 옹저궤후 기혈허이농출장기 - 금은화, 백지

녕신귀비탕

심신노상으로 정신단소, 건망경계, 불면, 천면, 불욕식, 혹 자한, 혹 발열, 혹 심사불안, 전신사통하는 데 쓰인다.

귀비탕방으로 대개의 경우 본방에 가감하여 사용하는데 주로 신경과로로 인한 허약성 체질환에 많이 응용된 처방. 

 

용안육, 산조인, 백출, 백복신, 황기, 인삼, 당귀, 원지, 감초, 목향, 강3조2

  • 불면 - 향부자, 혹 가 숙지황, 백작약
  • 간허 - 구기자, 백작약
  • 정허, 의지박약 - 녹용, 혹 가 녹각, 석창포 (개규약)
  • 이완출혈 - 지유초, 녹각교 (보양약), 건강초흑, 치자초흑 (청열사화약)
  • 심계불안, 심번 - 맥문동, 청죽여
  • 간화상염 - 향부자, 시호
  • 담열 - 시호, 황금, 반하, 진피
  • 두통 - 천궁, 황금주초
  • 신허 - 합 육미지황탕
  • 혈허 - 합 사물탕
  • 간담허 - 합 소시호탕, 혹합 온담탕, 혹합 소요산
  • 담음 - 합 이진탕, 혹합 도담탕 

固本健陽丹

근위, 원양허손, 방사과도이치신수결핍, 각슬위약, 불능구행, 음위조루 등증에 쓰인다.

 

숙지황, 산약, 산수유, 구기자, 두충, 파극, 쇄양, 천우슬, 당귀, 보골지, 관계, 오미자

 

산수유 - 澁精縮尿止帶藥

두충, 파극, 쇄양, 보골지 - 補陽藥

 

조루심 - 검인, 연자육 (澁精縮尿止帶藥), 석곡

냉심 - 부자포, 건강

정허 - 녹용, 혹 귀판주구, 토사자 (補陽藥)

기허 - 인삼

심번 - 맥문동, 백복령

각비 - 속단 (補陽藥), 선모 - 補陽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