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상견통탕(淸上蠲痛湯)
外感七情 등 上焦熱로 因한 頭痛, 偏頭痛에 新久左右를 不問하고 쓰인다.
黃芩酒炒, 當歸, 川芎, 羌活, 獨活, 蒼朮, 防風, 白芷, 麥門冬 1.0
荊芥, 蔓荊子, 甘菊 0.5 細辛, 薄荷, 甘草 0.3 薑 3
淸熱性鎭痛劑로서 頭痛, 偏頭痛, 頭風 등에 많이 활용되며, 단 實證性 인 경우에 應用된다. 또한 경우에 따라
因痰火에 合二陳, 因血虛에 合 四物, 因痰血兼發에 合 二四, 因食傷에 合 平胃로하여 加減變方하는데
매우 妙味가 있는 基本方이다.
가감
• 血虛頭痛 - 生乾地黃, 白芍藥 1.0
• 濕痰-增蒼朮,加厚朴,白茯1.0
• 痛甚-藁本0.7乳香,沒藥末等分0.3調服
• 熱甚-連翹1.0川黃連,梔子炒0.5
• 寒熱-柴胡,白芍藥1.0
• 外感熱-葛根1.0藁本0.7
• 氣鬱-香附子1.5梔子炒0.5
• 痰嘔-去羌活,獨活,加半夏,陳皮,赤茯1.0或加南星, 枳殼 1.0
• 食不消-去羌活,獨活加山査,神炒,麥芽炒,枳實1.0
• 精神不淸-去羌活,獨活,加白朮,天麻1.0
• 眼不淸-去羌活,獨活,加枸杞子1.0草決明0.7
혈허두통 – 생건지황 [청열량혈약], 백작약 (보혈약)
습담 - 증 창출, 加 후박, 백복령 - 창출&후박 [방향화습약] 백복령 [이수삼습약]
통증이 심 -고본, 유향, 몰약 = 고본 & 유향 [신온해표약 - 제습지통], 목약 [활혈거어약]
열이 심 - 연교, 천황련, 치자초 =연교 - 청열해독약, 황련 - 청열조습약, 치자 - 청열사화약
한열 - 시호, 백작약 = 시호 [신량해표약], 백작약 [보혈약]
*소시호탕 합방 [시호, 황금, 인삼, 반하] - 한열왕래 - 소시호탕.
외감열 - 갈근, 고본 = 갈근 [신량해표약] 고본 [신온해표약]
기울 - 향부자, 치자초 = 향부자[리기약], 치자[청열사화약]
담 + 구 (토) - 祛 강활, 독활 加 반하, 진피, 적복령 or 加 남성포, 지각
*강활 독활 - 소화가 안 되는 약이니까 빼고 습약이랑 합방하지 않는다. 아예 도담탕으로!!
소화 X - 祛 강활, 독활 加 산사, 신국초, 맥아초, 지실
정신불청 - 祛 강활, 독활 加 백출,천마[평간식풍약]
눈 맑지 못함 - 祛 강활, 독활 加 구기자, 결명자 = 구기자[보음약], 결명자 [평간식풍약]
*눈이 맑지 않다 - 눈은 간 [간개규어목] - 간신을 보할 때 좋은 약은 구기자
강활 [신온해표약] 독활 [거풍습지비통약]
강활& 독활 - 거습을 잘 해준다. 거습제랑 거담은 닽이 쓰지 않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