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제

두현/현훈 - 건비이사탕(健脾二四湯) & 가미하출탕(加味夏朮湯)

splendid0116 2020. 7. 20. 15:53

기혈이 구허하여 생담작현하고 두중불상하며 심지불녕한데 쓰인다.

  • 자음건비탕의 가미방으로 허약한 체질의 현훈증에 가장 많이 응용된 처방 

백출, 인삼, 귤피, 반하, 백복령, 생건지황, 당귀, 천궁, 백작약, 맥문동, 천마, 방풍, 형개, 원지, 감초, 박하, 강3조2

사물탕 + 사군자 + 이진탕 + 방풍, 형개, 박하, 건지황, 맥문동, 원지, 천마

  • 방풍, 형개, 박하 - 피부로 끌어올리는 약
  • 원지 - 정신을 맑게 해주는 약
  • 천마 - 어지럼증, 평간식풍약 - 제풍도현, 개속어간

 

  • 기허심 - 배 인삼, 加 황기
  • 유화현훈 - 환 사삼, 加 황금주초, 천황련주초 = 사삼[보음약], 황금 & 황련 [청열조습약]
  • 통현 - 백지, 고본, 감국 = 백지 & 고본 [신온해표약] , 감국 [신량해표약]
  • 기울 - 향부자, 목향
  • 식울 - 산사, 신국초, 맥아, 지실
  • 흉번 - 시호, 청죽여, 길경
  • 습울 - 창출, 강활, 고본
  • 신허불면 - 산조인초, 백복신
  • 뇌전이명  - 구기자, 감국, 숙지황 

 

가미하출탕(加味夏朮湯)

담음두현으로 작현, 안혼하며 구역욕도, 위적불하하는 데 쓰인다. 

위하수로 오구작현하거나 고혈압 또는 저혈압증으로 무기력하며 현훈욕도하는 데 많이 사용 

비위(脾胃)의 기(氣)가 허약(虛弱)하게 되어 위하수(胃下垂)가 생기고 무력하게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.

  • 반하백출천마탕의 증감방인데 위하수로 인한 담음, 현훈에 잘 쓰는 명방
  • 보기 + 거담 + 거습

 

  • 간기허 - 구기자, 청피
  • 두현심 - 천궁, 형개
  • 흉격불리 - 길경, 지각, 목향
  • 변비 - 당귀, 과루인
  • 불면 - 산조인, 향부자
  • 트림 - 과루인
  • 비체 - 지실, 사인